2017년 10월 23일 월요일

King Crimson Radical Action 2017 Tour - Austin, TX

더 기억이 희미해지기 전에 남긴다. 여기 들어오는 사람은 없을 수도 있겠지만 기록을 위해.

2017년 10월 19일 UT Austin의 Bass Concert Hall에서 킹크림슨의 2017년 북미 투어의 하반기 첫 공연이 있었다. 차로 왕복 5~6시간 걸리는 곳이었지만 지금이 아니면 아예 다시는 이들의 공연을 못볼 수도 있다는 생각에 하루 숙박까지 곁들여 예매를 했더랬다. 예매 시작 시간을 놓치는 바람에 아주 좋은 자리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오케스트라석에서 뮤지션들의 표정을 볼 수 있는 정도의 거리라서 나름 만족스러운 자리였다.

유년 시절부터 킹크림슨을 좋아해왔다고는 해도 사실 멤버 교체나 2000년대 이후의 활동에 대해서는 큰 관심 없이 살아왔다고 할 수 있다. 공연을 가기 전에 준비차 찾아본 최근 활동상은 사실 조금 걱정을 끼치는 것이었다. 근 30년 넘게 프론트맨으로 서왔던 리드 보컬 Adrian Belew가 Robert Fripp에게 재계약 없음 통보를 받고 2013년 퇴출되었다는 것은 뭔가 메탈리카 생각도 나고 좀 거시기했다. 과연 새 보컬이 킹크림슨 특유의 음색을 소화해낼 것인가.


미국 락 콘서트는 대부분 판매시에 적혀 있는 시각보다 최소 30분에서 최대 1시간반 뒤에야 본 밴드가 무대에 오르는 경우가 많다. 급이 낮은 다른 밴드가 먼저 공연을 하기도 하고, 공연장을 오픈해두고 관객들이 술 사고 기념품 사고 화장실 다녀오는 동안 30분 가까이 배경음악만 깔아놓기도 한다. 이번에도 당연히 그럴줄 알았던 나는 8시 공연에 8시 조금 넘어 도착해서 데킬라 한 잔 줄 서서 주문하고, 기념품 부스도 구경하고는 10분쯤 어슬렁어슬렁 들어갔다. 아직도 한 20분은 남았겠지 하는 생각으로. 그런데 웬걸, 이미 그들이 무대 위에 있었고 관객들은 대부분 착석하여 숨을 죽이고 있었다. 다행히 첫 곡 시작 직전에 아슬하게 착석.

공연이 끝나고 찾아보니 로버트 프립이 어느 인터뷰에서 이번 투어를 "a double quartet formation"이라고 말했다 한다. 8인으로 된 현재의 밴드 라인업을 두고 말하는 것일 수도 있고, 무대를 정확이 대칭으로 가르는 배치를 염두에 둔 것일 수도 있지만, 나는 저 표현을 보면서 동시에 이들이 new classic으로 남고자 하는 욕망을 읽었다. 클래식 공연처럼 거의 정시에 시작하여 중간에 한번의 인터미션을 거쳐 공연 종결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그 흔한 밴드 멤버 소개조차 하지 않고 무대와 객석의 구분을 명확히 했다. 엄격하게 통제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촬영은 철저히 금지되었고.

각설하고, 아니 저런 짜잘한 곁다리 평가질은 차치하고 결론부터 말하면, 아마도 내 생애 최고의 공연이 아니었을까 한다. 과연 생애 최고라고 말해도 될지 머릿속을 스캔해봤는데, 아직 현역이시던 알 그린을 코 앞에서 본 2009년 공연, 완전체 산울림에게 직접 사인을 받은 1997년 공연 정도가 떠올랐으나... 무대에서 구현되는 퍼포먼스의 짜임새와 무게감을 봤을 때 과연 생애 최고라고 말해도 될 것 같다. 아니, 이런 걸 어디 동영상으로도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물론 동영상으로 담아도 느낄 수 없겠지.

우선 가장 놀라웠던 것은 무대 앞 열을 세 대의 드럼 셋이 채웠다는 것이다. 첫 곡부터 이 세 드러머의 드러밍은 폭발하기 시작했다. 정말 폭발이라고 말 할 수밖에. 그런데 이게 그냥 단순히 한 두 대의 드럼 셋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함께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세 드러머가 각기 다른 색깔로 잼을 하는 것이었다. 그 사이사이로 찌르듯이 들어오는 프립의 기타와 레빈의 베이스는 현란함과 과학적 정교함을 동시에 구현했다고 말할 밖에.

2013년부터 프론트맨이 된 Jakko Jakszyk의 보컬도 신기하게 초기 킹크림슨을 연상케 하는 음색을 갖고 있었다. 아마도 이 공연의 유일한 옥의 티가 그의 Epitaph였을텐데(고음 처리가 안되는 것인지 고음역을 고의로 피했다), 그것 빼고는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보컬이었다. 

이 날의 최고 연주는 아마도 Starless였을 텐데, 개인적으로는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이 가장 감동적이었고... 콘서트에서 순수하게 감동해서 눈물을 흘린 것은 이 곡이 처음이었다. Moonchild에 연이어 나온 연주였는데, 시작부터 탄식을 멈출 수가 없었다. 21st Century Schizoid Man 없이 공연이 끝날 분위기가 되자 관객들은 "Schizoid!"를 연발하기 시작했고, 결국 얻어냈다. 공연이 그 곡으로 끝났다는 것도 뭔가 꽉찬 느낌. 

공연이 끝났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는데(이미 11시가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촬영 적발시 퇴장된다는 문구가 더 이상 무섭지 않은 것은 장점이었다. 다들 같은 생각이었는지 밴드가 퇴장하기 전에 찍기 위해 모두 폰을 올려들었고, 프립도 관객들을 사진에 담았다.


보통 공연을 가서도 스스로 막 끌려서 기념품을 사는 경우는 잘 없는데, 이 날은 어떻게든 뭔가를 더 가져가고 싶다는 생각에 줄을 섰다. 공연 컨셉인 Radical Action 이미지와 데뷔앨범 이미지로 된 티셔츠들은 이미 XXL와 S 사이즈 빼고는 동이 나 있었고, 결국 디자인이 아주 마음에 들진 않지만 뒷면에 투어 리스트가 인쇄된 것과 2017년 시카고 라이브 CD를 사는 것으로.


돌아와서 YouTube와 라이브 CD를 번갈아 듣고 있지만, 공연에서의 그 폭발력은 다시 느낄 수가 없다. 로저 워터스와 데이빗 길모어가 함께 하는 핑크 플로이드 공연이 아닌 바에야 아마도 당분간 내 버킷리스트에는 킹크림슨의 다음 투어들이 상위권을 차지할 듯.


(이건 그나마 현재 라인업으로 하는 맛을 느낄 수 있는 동영상)

2010년 12월 21일 화요일

근황

1년 반 가량 있던 곳에서 생활을 청산하고 돌아갈 날이 대략 한 달 남았고,
지긋지긋하다 매번 치를 떨지만 또 다시 지루한 도시에서 크리스마스 전날까지 1주일 머무를 예정이고,
이래저래 골치 아픈 일들, 마음 바쁜 일들, 겉도는 연말 분위기, 추위 등등으로 조금 우울한 중이고,
별 생각 없이 집어들었던 한강의 《검은 사슴》을 읽고 그 한없이 우울한 분위기가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이상하게 또 다른 책을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있는 중이고,
《트론》이 리메이크 되어 개봉했다는데 저걸 챙겨봐야 하나 그냥 생까야 하나 고민 중이고,
돌아가는 순간까지도 꾸역꾸역 써내야 하는 글이 하나 있어 편두통이 생길 지경이고,

아무튼 그다지 좋은 정신 상태는 아님.

2010년 10월 4일 월요일

로저 워터스《The Wall》 30주년 기념 월드투어 후기


2010. 10. 3. 8:00 pm
TD Garden, Boston, MA

그야 말로 기대를 한참 뛰어넘은 공연이었다. 《The Wall》 앨범의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공연, 그것도 더 이상 핑크 플로이드가 아닌 로저 워터스의 단독 공연이라는 점에서 사실 아주 새로운 것을 기대를 하고 간 것은 아니었다. 그저 말로만 듣던 핑크 플로이드 식의 스펙터클을 재연만 해준다면 감사할 따름이라는 생각이었는데 예상 외로 아주 입이 딱 벌어져서 나올 수 있었다. 그건 단지 스펙터클 때문이 아니라 공연이 담고 있는 메시지의 현재적 의미 때문이었다. 애초에 《The Wall》 앨범 자체가 단순히 교육에 대한 비판 만이 아닌 자본주의 시스템의 문제, 전쟁경제와 재생산의 문제에 대한 비판을 두루 아우르는 수작이었지만, 그래도 3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그것을 다시 공연한다는 것은 자칫 또 하나의 기념비를 세우는 것에 불과한 것일 수도 있었다. 아마도 로저 워터스도 그 부분을 고민했을 것 같고, 그 결과는 아주 시사적이다.

불꽃이 일고 전투기가 공습사이렌과 함께 무대로 돌진하고 헬리콥터가 관객들에게 핀라이트를 겨누는 개막의 스펙터클이 지나고 대형 애드벌룬으로 된 교사의 형상과 그에 대항하는 어린 학생들의 합창 등등이 나오는 초반까지는 《The Wall》의 뮤직비디오나 영화를 본 이들에게 익숙한 내러티브가 전개된다. 그 와중에 무대 앞과 뒤를 가로지르며 계속해서 벽이 쌓아올려지고 어느새 벽은 스크린의 역할을 겸하며 다양한 비디오 아트를 투영해낸다. 아마 그 즈음부터였던 것 같은데 오바마의 얼굴과 CNN의 로고, 정유회사 쉘(Shell)의 CI 등이 빠르게 화면에 스쳐간다. 그와 함께 나타나는 이라크 공습의 이미지, 관타나모 수용소의 학대 사진의 이미지는 이 공연이 "현재"를 겨냥하고 있음을 강하게 역설한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벽이 어느덧 무대를 완전히 가로막을 무렵, 변형가능한 한쪽 벽면을 활용한 세트 무대에는 그야말로 아주 전형적인 미국인 혹은 영국인의 일상이 묘사된다. 소파에 앉아 테이블에 발을 걸치고 TV를 보는 그(로저 워터스)의 일상 옆으로 남은 벽면의 거대한 스크린은 중동 어딘가의 마을에 떨어지는 폭탄의 파열을 담아낸다. 또 다른 장면에서는 하얀색 이어폰을 낀 색색의 소들이 현란하게 워킹을 하고 하얀 로고타입으로 "iTeach" "iFollow" "iResist" 등의 단어가 떠다니는 아이팟 패러디가 나타나는가 하면, 네오 나치를 연상케 하는 제복과 깃발의 장면에서는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의 동참을 호소하는 지도자(로저 워터스)가 확성기로 선동에 나선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영상은 WikiLeak가 폭로해 파문이 일었던, 비무장 이라크 민간인들을 향한 미군들의 총격 살인장면이다.



가장 흥미로웠던 순간은 "Bring the Boys Back Home"의 영상 퍼포먼스에서였다. 이 순간을 로저 워터스가 의도한 것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나 그야말로 미국인들의 현재를 적나라하게 폭로하는 찰나였다. "발사된 총과 로켓은 헐벗은 이들, 굶주리고 버림 받은 이들에게 향하는 도둑질이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곧 이어 어느 군복 입은 미군 병사가 귀환하여 딸과 재회하는 장면이 이어진다. 이 재회 장면은 미국의 주류 방송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아주 전형적인 감동 코드로 만들어져 있는데, 이들이 마침내 포옹하자 관중들은 열광의 환호성과 박수로 들끌었다. 그건 마치 이 병사의 "애국적인" 복무가 충실하게 수행된 후에 조국의 가족과 재회했음을 모두가 인정해준다는 의미의 환호성, 철군이 아니라 복무기간을 성실히 마친 병사의 귀환에 대한 지지의 환호성으로 보였다. 그런데 그에 이어지는 장면은 다시 "도둑질(the Theft)"을 당한 이교도 아이들의 망연자실한 얼굴들, 그리고 그 위로 뜨는 빨간 색의 커다란 타이포그라피 "Bring the Boys Back Home (그 사내들을 집으로 복귀시켜라 - 철군시켜라)"이었다. 이때 환호하던 관중들은 순간 당황한듯 주춤했고, 이내 다시 이 곡의 마무리에 환호했지만 병사 귀환 장면의 환호성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에 그쳤다. 미국적 애국주의의 일상적 한 단면이 폭로되는 순간, 30년된 명곡에의 환호와 국가에의 환호가 한순간 파열음을 내는 순간이었다.

공연은 벽을 허무는 퍼포먼스와 함께 끝났다. 데이빗 길모어의 목소리로 "Another Brick in the Wall"을 들을 수 없었다는 것이 조금 아쉬웠지만 로저 워터스의 목소리로 듣는 "Hey You"로 위안이 되는 만족스러운 공연이었다.

2010년 9월 22일 수요일

노무현과 노무현이 마주 보는 장면

《구미호: 여우누이뎐》의 후속으로 보고 있는 《성균관 스캔들》. 재미 있게 보고 있는데 중간 중간 불편하게 만드는 것은 이 드라마에 새겨진 노무현식 자유주의의 이상향이다. 뒤로 갈 수록 강조되는 "탕평책"의 이데올로기도 그렇지만 특히 주요 배역을 통해 인물화되는 이념형으로서의 영웅적 정치인상이 더 그렇다.



여성인 김윤희가 '김윤식'이라는 이름으로 성균관 입학 자격을 받는 이 장면은 그래서 무척이나 상징적이다. 왕이라는 최고 통치 권력에게조차 굽히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피력하여 고사장을 일순간 긴장 속으로 몰아넣는 이선준은 여전히 시퍼런 권력을 등에 업고 있던 전두환에게 명패를 던지던 젊은 노무현과 닮았다. 그런 당돌한 젊은이들을 보면서 상식을 뒤엎는 인사를 감행하는 정조는 서열을 파괴하는 파격인사를 단행하던 대통령 노무현과 닮았다.

노무현과 노무현이 마주보는 이 장면, 이 장면은 달게 만들어진 장면이지만 나에겐 쓰다. 수면 위로 올라왔던 판타지는 5년 동안 허위임이 밝혀졌지만 그 후의 5년간은 다시 그 판타지를 갈구하게 만들고 있다. 그 둘은 함께하여 서로를 완결 짓는 판타지의 한 플롯임이 분명하다.

2010년 9월 8일 수요일

내 말이!

꼴주사들하고 같은 소리가 내 입에서 나오는게 싫어서 침묵하고 있었는데,
이번엔 "천인공노할 미제"의 입에서도 같은 소리가 나오네 ㅋ
http://news.nate.com/view/20100908n01281

2010년 9월 6일 월요일

The xx



작년에 데뷔한 영국 밴드라는데 인기가 좋군. 살짝 누벨바그 느낌도 나고.

2010년 8월 31일 화요일

못봐주게 어설프네



프로파간다가 힘을 발휘하는 이유는 매혹적이기 때문이다.
매혹적이기는커녕 어설프다 못해 조소를 품게 만든다면 당장 그 제작자를 파면해야 할 것이다.
물량으로 승부하면 된다는 발상은 박통 때 공보부 직원들도 하지 않던 직무유기다.
명박이는 당장 연합뉴스 취재부를 어떻게 좀 해라.
못봐주겠다.

이건.. 프로파간다가 아니라 아트잖아..

저 노동조합 조끼입은 아저씨 좀 봐라. 저 외면하는 눈빛 하며, 항문 불편하게 굳이 두개 의자에 걸쳐 앉은 어색함!
반대편 창문에 비치는 빽빽히 끼어 앉은 사람들과, 감히 장관님(!) 옆에 끼어앉지 못해 넓게 비워둔 저 공간적 대비!
무가지로 얼굴 가린 여성은 한쪽 눈만 살짝 걸친 채 이쪽을 훔쳐보고,
창문에는 브레히트적으로 노출된 두 개의 카메라가!

사진기자 예술할려 그러는데 명박이 뭐하냐, 안잡아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