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31일 토요일

《Inglourious Basterds》- 프로파간다에서 헐리우드까지

* 스포일러 탑재

나치를 최대한 잔인하게 죽여주겠다던 이 영화는 실상 전쟁영화라기보다는 영화에 관한 영화, 메타 영화라 하는 것이 더 타당하겠다. 물론 타란티노 영화가 대부분 그렇겠다만.

이 영화의 주인공은 하는 일 없이 입만 나불거리는 루터넌트 레인(브래드 피트)도 아니고, 비장미를 보여주는 유대계 프랑스인 쇼산나 드레퓌스(멜라니 로랑)도 아니고, 히틀러도 아니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괴벨스와 그의 영화, 제3제국의 프로파간다 영화다. 물론 셀지오 레오네에게 바친 오프닝이나 G.W. 팝스트에게 오마주를 넘어서 몇 차례의 직접적인 인용을 바치는 데서는 타란티노식 버무림이 여전하지만.

팝스트와 레니 리펜슈탈의 산악영화《피츠 팔뤼의 백색 지옥(Die weiße Hölle vom Piz Palü)》의 간판이 걸려있는 영화관, 그곳에서 나치당은 프로파간다 영화 《조국의 긍지(Stolz der Nation)》의 프리미어를 계획한다. 바스터즈 일당은 그들대로, 영화관의 소유주이자 학살에서 살아남은 유대인 쇼산나는 그녀대로 히틀러와 괴벨스 등 나치당의 핵심인물들을 살해할 계획을 세운다.

그 모든 과정에서 프로파간다의 제작과 상영과, 또 프로파간다가 낳은 여러 상징들이 사이사이에 녹아들어 중요한 요소로 작동한다. 더구나 그들, 프로파간다의 스타들, 전쟁영웅인 동시에 괴벨스가 기획한 프로파간다 영화로 영화화되는 소재이면서, 또 동시에 그 자신이 자기 역할을 직접 연기하는 은막의 스타인 졸러 이병(다니엘 브륄), 마를렌 디트리히가 거부했던 '제국 스타'인 동시에 마타 하리의 다른 버전인 여배우 해머스마크(다이앤 크루거), 그리고 그 자신 실제 역사 속에서 프로파간다 영화의 스타였던 에밀 야닝스의 등장까지.

그래서 쇼산나의 불타는 화면으로 나치를 대량 학살하는 후반부의 대장관은 프로파간다의 몸통이 되었던 극장이 스스로 몸살라 관객들을 집어 삼킨다는 점에서 프로파간다의 종착역이자, 프로파간다 너머의 프로파간다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그런데 그것이 끝은 아니다. 역사적 사실과 다른 결말을 택하면서까지 최대치의 말초적 재미를 추구하는 타란티노의 헐리우드 오마주 역시 이 메타영화의 중요한 축이기 때문이다. '하는 일 없는' 주인공 아닌 주인공 브래트 피트는 바로 여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서부극과 느와르와 B급영화의 온갖 클리셰를 넘나드는 이 영화는 2차대전을 다룬 기존의 역사영화, 전쟁영화들의 무게감 따위를 가볍게 조롱한다. 프랑스어와 독일어가 교차하는 40년대 파리의 한복판에서 미국 뒷골목의 언어를 거리낌 없이 구사하는 브래드 피트는 그래서 그 자신 헐리우드 클리셰를 인물화한 캐릭터다.

프로파간다의 파국과 초-프로파간다적 산화가 끝이 아닌 것은, 바로 이 헐리우드 클리셰 역시 극단의 환영성을 통해 괴벨스의 학살영화와 한 몸을 이루기 때문이다. 학살에 뛰어든 자신의 모습에 괴로워하는 졸러 이병의 모습은 잠시동안 이를 환기시켜주는 비판적 순간이지만, 히죽히죽 웃으며 나치 장교의 이마에 칼끝으로 하켄크로이츠를 새기는 브래드 피트의 클로즈업으로 끝맺는 잔혹성은 단지 악취미가 아니라 영화(프로파간다, 그리고 헐리우드)가 원래 그런 것이 아니냐는 자조적이면서도 자신감에 찬 일갈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